분류 전체보기87 [boostcourse] 2. 웹 백엔드 프로그래밍 기초 생각해보기 #6 #6 JSTL & EL 1) 표현식으로 값을 출력하는 것과 EL을 이용해서 값을 출력하는 것 중 어떤 게 편해 보이나요? 자바가 익숙한 사람에게는 표현식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 같고 프론트 개발자에게는 EL이 더 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 JSTL의 태그는 XML태그 문법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반드시 태그가 닫히거나 '/>'로 끝나야 합니다. JSP가 제공하는 문법 중 사용자 정의 태그라는 것을 통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번 시간엔 JSTL의 core태그에 대해서 살펴봤는데요. 그 외의 태그들에는 어떤 게 있는지 찾아보고, 왜 그러한 태그가 필요한지 생각해보세요. JSTL 태그들은 JSP 문법을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 졌으므로 JSTL 태그를 사용하더라도 자바 코드를 사용하는 JSP와 .. 2021. 7. 21. [boostcourse] 2. 웹 백엔드 프로그래밍 기초 생각해보기 #5 #5 scope 1) 회사 관리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회사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정보가 약 1메가 정도 있습니다. 이 정보는 자주 바뀌지 않고, 모든 사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입니다. 이러한 정보는 어떤 scope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자주 바뀌지 않고,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범위 내의 매개변수/속성을 모든 요청 및 세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Application Scope가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4가지 Scope ▶ Application : 웹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종료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 Session : 웹 브라우저 별로 변수가 관리되는 경우 사용 ▶ Request : http요청을 WAS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 2021. 7. 21. [boostcourse] 2. 웹 백엔드 프로그래밍 기초 생각해보기 #3 ~ #4 #3 Servlet 1) 동적인 페이지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것일까요? 동적인 페이지가 필요한 경우는 많지만 입출력이 이루어질때마다 페이지의 구성요소를 다르게 보여줘야하는 경우에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 HelloServlet 클래스 파일을 작성할 때 HttpServlet을 상속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동작할까요? package examples;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 2021. 7. 21. [boostcourse] 2. 웹 백엔드 프로그래밍 기초 생각해보기 #2 #2 웹 개발환경 설정 1-1) Apache Tomcat 외에 WAS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Apache Server, Nginx,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WebToB 더보기 Apache Server :Apache 쓰레드와 프로세스 기반 구조 요청이 많을수록 CPU와 메모리 사용이 증가하므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 대부분의 OS에서 사용이 가능 Multi-Processing-Modules(MPMs) MPM_prefork 하나의 자식프로세스가 하나의 쓰레드를 갖는 구조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구조이므로 worker보다 많은 메모리를 사용 프로세스간 메모리를 직접 공유하지 않아 메모리 공간이 독립적이므로 안정적임 응답프로세스를 미리 띄워놓고 클라이언트 요청시 자식 프로세스.. 2021. 7. 20. [boostcourse] 2. 웹 백엔드 프로그래밍 기초 생각해보기 #1 #1 Web개발의 이해 1-1) 프론트엔드부터 서버 개발까지 한 가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한다면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프론트엔드는 물론 node.js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백엔드 개발까지 할 수 있는 javascript라고 생각한다. 1-2) 다양한 라이브러리, 쉬운 개발, 읽기 쉽고 적은 코드를 장점으로 한다면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읽기 쉽고 적은 코드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Python이라고 생각한다. 1-3) 프로그래밍 언어에게 좋은 커뮤니티가 있다는 것은 어떤 장점을 가질까? 혼자 해결할 수 없는 오류와 궁금한 내용들을 질문하거나 자신이 알고있는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더 쉽게 지식을 얻고 자신이 알고 있는 내용을 상기시킬 수 있다. 2) HTTP와 HTTPS.. 2021. 7. 20. 이전 1 ··· 4 5 6 7 8 9 10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