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LbNV7/btqOtgHTCyf/udtKVj7tpNzgb6kLve6Ik0/img.jpg)
모바일 프로그래밍 강의에서 교수님께 들어 알게된 고령친화산업 해커톤 공모전에 친한 동기와 참가하기로 했다.
해커톤 참여는 두번째인데, 첫번째는 을지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단에서 을지대학생을 대상으로 주최한 해커톤으로 해커톤이 시작하기 전, 아이디어를 구상해놓고, 준비물들을 가져와 팀원들과 밤을 새서 결과물을 만드는 컨셉이었다. 내 팀은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사용해 Google Assistant를 사용한 홈케어 Wall-E라는 작품을 만들어 최우수상을 받았었다.그 때는 2학년이었고 3학년 선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었다. 밤을 새며 해커톤을 해봤던 경험이 협업에서 역할을 나누고, 이것저것 기능을 추가하려는 것보다 한가지에 집중해서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게 했다. '카카오톡'이 채팅 하나로, '배달의 민족'이 배달 하나로 성공했듯 말이다.
고령친화산업 해커톤의 공모 주제는 시니어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고령친화 필수 Keyword와 하나 이상의 주제 Keyword의 조합을 통한 참신한 고령친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이다.
※ 필수 Keyword : 고령친화
※ 주제 Keyword : 인지, 신체, 정보, 지역사회, 비대면
앱으로 시니어들을 위해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해봤을 때, 정보과잉시대라고 불리는 요즘 시니어들에게 필요한 것은 보기 쉽게 정리되어있는 건강관련 정보와 자기관리가이드, 다이어리, 병원 예약 서비스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구현하는 것으로 주제를 정했다.
웹 프레임워크인 Django를 사용해서 제작하기로 결정하고 장고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본 경험은 수업시간에 들었던 Flask가 전부였고, Python 보다는 Java를 훨씬 더 많이 스터디했었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동기의 도움을 많이 받으며 시니어를 위한 다이어리를 한달정도 제작했다.
우선 로그인 기능, 회원가입 기능, 프로필기능은 동기와 같이 구현하고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나는 질병정보 탭을 구현하고 동기는 건강관리 탭과 병원 예약 페이지를 구현하기로 결정했다.
![](https://blog.kakaocdn.net/dn/nkZM8/btqOtEIxbaX/9HvP5oqdAxjJFcZlwiw1P0/img.png)
위 사진은 구현한 질병정보 탭이다. 당뇨, 고혈압같은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고, 선택박스에서 치료법, 예방법, 운동법 등을 선택해 검색할 수 있다. 클릭해보면 아래와 같은 글 정보가 나온다.
![](https://blog.kakaocdn.net/dn/bRDt2H/btqOvRfPOfd/P8a7gqmXFkiaIGcTLg3gVk/img.png)
해커톤 전날 내가 구현한 것과 동기가 구현한 것을 합치는 과정이 제일 짜릿했다. 작은 에러가 몇개 있었지만 생각했던 것보다 비교적 쉽게 에러를 해결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11월 28일 아침 일찍 일어나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으로 향했다. 코로나 3차 대유행으로 인해 몇몇 팀이 불참했다.
도착해서 미션을 줬는데 앱 메인 화면에 성남고령체험관 인터넷 사이트와 유튜브 주소로 연결하는 링크와 몇몇 글을 작성하는 것이었다. 동기는 미션을 수행하고 나는 발표준비를 하기로 했다. 그런데 주변을 보니 다른 참가 팀들은 이미 발표ppt를 만들어 놓은 듯 보였고 거기서 살짝 걱정이 됐다. 급하게 우리 팀이 만든 웹을 소개하는 ppt를 만들고 동기는 미션을 금방 끝내고 ppt제작을 도와주었다.
우리 팀의 차례가 됐을 때 긴장되는 마음을 추스리고 단상에 서서 발표를 하려는데 ppt리모컨이 말썽이어서 당황했지만 정신 차리고 계속 발표를 진행했다. 준비를 많이 하지 못해 아쉬운 발표였다... 다시 하고싶다.. 정말.. 발표가 끝나고 Q&A를 받을 때 평가위원분들이 많은 질문을 주셨다.
기억나는 질문들을 나열해 보면,
Q1. 이미 네이버나 유튜브에 많은 건강관련 정보들이 있는데 시니어 사용자들이 이 앱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A1. 네이버와 유튜브에 많은 정보들이 있지만 잘못된 정보들도 존재하고, 많은 정보들을 편집해서 시니어들이 읽기 편하도록, 또 그 정보를 찾기 편하도록 설계했습니다.
Q2. 병원 예약 시스템은 이미 많은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 앱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A2. 각 병원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예약하는 것이 아닌 시니어 다이어리 앱에서 쉽게 예약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Q3. 앱에 올라와 있는 정보들은 믿을만한 정보인가요?
A3. 의사들이 작성하는 글들이기 때문에 믿을만한 정보입니다.
Q4. 의사들이 어떠한 목적으로 그러한 글들을 작성하는가요?
A4. ... 네이버 지식인을 보면 많은 의사들이 질문에 답변글을 남기는 것처럼 글을 작성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5. 의사들도 수익창출을 할 수 있거나 글을 작성할 만한 동기가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A5. 감사합니다.
기능에 대한 질문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예상하지 못한 질문들을 받아서 변명 수준의 답변을 했던 것 같다..
이번 해커톤에 참여하면서 많은 것을 얻었다. 시니어를 위한 다이어리앱을 만들면서 동기와 나는 '기능 구현'과 '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다. 하지만 단순히 '기능'이 아닌 '기능'을 통한 사업성, 수익성, 차별성 등 다양한 요소들이 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평가단분들의 질문과 조언을 통해 깨달았다. 또 평가단 앞에서 발표를 한 적도 처음이라 긴장을 많이 했지만 다음에는 긴장을 덜하고 잘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도 생겼다.
같이 정말 열심히 해주고 이끌어준 동기에게 정말 감사하다. 다음에도 또 같이 하기로~
![](https://blog.kakaocdn.net/dn/pLg3p/btqOt0xPwEC/dyMGSgFTfFXWA0jTFOdr3k/img.jpg)
'Record >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기] 2021 스코페 코딩테스트 (2) | 2021.03.20 |
---|
댓글